혼자 일하는 사람은 업무 기획부터 일정 관리, 콘텐츠 제작, 브레인스토밍까지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지 않으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업무에 시간을 허비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AI 도구, 아이디어 정리, 일정 관리 & 집중력 유지를 돕는 생산성 앱들을 조합하여 최적의 업무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1. AI로 정보 검색과 정리를 빠르게 - Perplexity & ChatGPT
혼자 일할 때 가장 비효율적인 시간 낭비 중 하나는 바로 정보 검색이다.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개의 사이트를 검색하고 비굫는 과정은 시간을 소모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1) Perplexity
- 최신 정보를 신속하게 검색하고 요약해주는 AI 검색 엔진
- 출처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음
- 검색 ➜ 정리 과정을 줄여 업무 속도를 단축
2) ChatGPT
- 검색보다 더 심화된 정보 정리가 필요할 때 활용
- 문장 다듬기, 콘텐츠 기획,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에 유용
💡 활용 팁

- 단순한 검색이 아니라 이전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연결된 정보 제공이 필요한 경우 Perplexity가 효과적
- 깊이 있는 분석이나 정리된 문장을 원하면 ChatGPT 활용
2. 메모와 지식 관리 - Obsidian
혼자 일하면서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기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메모 앱과 달리, Obsidian은 단순 기록이 아니라 아이디어 간의 연결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Obsidian
- 마크다운 기반의 로컬 저장형 노트 앱
- 제텔카스텐(Zettelkasten) 방식을 활용해 아이디어를 구조적으로 정리 가능
- 한 번 메모한 아이디어를 다른 개념과 연결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는 방식
💡 활용 팁

- 단순 메모 ➜ 개념 정리 ➜ 프로젝트 연결 과정으로 활용
- 개인 연구, 기획 업무, 블로그 콘텐츠 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
3. 업무 시각화를 돕는 도구 - FigJam, Napkin AI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거나 업무 프로세스를 정리할 때 시각화는 중요한 과정이다. 글로만 정리한 정보는 다시 확인할 때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 FigJam
- 마인드맵, 플로우 차트 등을 쉽게 정리할 수 있는 화이트보드형 툴
- Obsidian에서 메모한 내용을 더 구체화할 때 유용
- 여러 개의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직관적으로 흐름을 파악하는 데 적합
2) Napkin AI
- 복잡한 개념을 빠르게 도식화할 수 있는 AI 기반 시각화 도구
- 도식화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며, 프레젠테이션이나 문서 작업에 활용 가능
- FigJam이 브레인스토밍과 팀 협업에 특화돼 있다면, Napkin AI는 개인 작업자가 빠르게 도식화를 생성할 때 유용
💡 활용 팁


- FigJam : 복잡한 사고 과정을 구조화하고 싶을 때
- Napkin AI : 개념을 직관적으로 정리하고 싶을 때
4. 일정 및 작업 관리 - Notion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할일 목록과 프로젝트 단위 관리가 필요하다.
Notion
- 업무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일정 관리 툴
- 스프린트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거나, 주간 일정 관리에 유용
💡 활용 팁

- 단순한 일정 관리가 아니라 업무 진행 상태를 기록하는 칸반 보드 활용
- 미리 템플릿을 만들어 놓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5. 집중력 유지 - 뽀모도로 타이머 활용
혼자 일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얼티밋 포커스 (iOS)
- 25분 집중 + 5분 휴식을 반복하는 뽀모도로 기법 적용
- 특정 작업을 정해놓고 타이머를 돌려 몰입도 높이기
💡 활용 방법
- 블로그 글 작성할 때 1세선(25분) 동안 초안 작성
- 긴 작업을 여러 개의 뽀모도로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
6. 결론 - 혼자 일하는 사람을 위한 최적의 생산성 앱 조합
카테고리 | 추천 앱 | 주요 기능 |
정보 검색 & 정리 | Perplexity, ChatGPT | 검색, 문장 정리, 콘텐츠 기획 |
업무 시각화 | FigJam, Napkin AI | 브레인스토밍, 도식화, 시각적 정리 |
메모 & 지식 관리 | Obsidian | 제텔카스텐 방식의 아이디어 정리 |
일정 및 프로젝트 관리 | Notion | 칸반 보드, 스프린트 방식 일정 관리 |
집중력 유지 | 얼티밋 포커스 | 타이머 사용으로 업무 시간 및 집중력 유지 |
이번 글은 전체적인 생산성 루틴 내에서 사용하는 툴들을 정리해보았다. 각 툴의 더 자세한 사용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들을 참고하길 바란다.
관련 글 보기
👉🏻 2025.02.20 - [자기 계발] - 옵시디언(Obsidian) 메모 활용법 | 제텔카스텐으로 아이디어 연결하기
👉🏻 2025.02.19 - [IT 정보/AI 관련] - Napkin AI 리뷰 | 개념 정리부터 활용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 2025.02.13 - [IT 정보/AI 관련] - 챗GPT vs 퍼플렉시티(Perplexity) 사용 비교 | 어떤 AI가 더 유용할까?
👉🏻 2025.02.09 - [자기 계발] - 혼자 일하는 사람을 위한 피그잼(FigJam) & 노션(Notion) 활용법

'기획자의 툴 활용법 > 기획 & 생산성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100% 활용하기 위한 5가지 전략 | 경험에서 얻은 필수 팁 (0) | 2025.03.08 |
---|---|
피그마 vs 프레이머 비교 | 기획자의 관점에서 보는 차이점 (0) | 2025.03.06 |
간편결제 도입,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 네이버페이 적용 & MSA 전환 과정 (0) | 2025.02.26 |
옵시디언(Obsidian)에서 원자적 노트 정리하는 법 | 아이디어 노트 vs 원자적 노트 (0) | 2025.02.23 |
옵시디언(Obsidian) 메모 활용법 | 제텔카스텐으로 아이디어 연결하기 (4)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