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툴 활용법/기획 & 생산성 팁

피그마 vs 프레이머 비교 | 기획자의 관점에서 보는 차이점

가지피그 2025. 3. 6. 10:40
728x90

웹/앱 서비스 기획자로서 다양한 디자인 및 프로토타이핑 툴을 사용해봤다. 그중에서도 피그마(Figma)와 프레이머(Framer)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 목적과 최적화된 환경이 다르다는 걸 느꼈다. 프레이머의 경우 국내에서 토스와 같은 기업이 활용하며, 몇 년전부터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 같다.

 

피그마는 협업과 디자인에 최적화된 반면, 프레이머는 웹사이트 제작과 배포까지 가능한 올인원 솔루션에 가깝다. 하지만 프레이머는 HTML, CSS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학습 곡선이 다소 가파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프레이머와 피그마를 비교하고, 기획자의 입장에서 어떤 툴이 더 적합한지 살펴보려고 한다.

 

 


 

1. 피그마 vs 프레이머

1) 피그마(Figma)란?

피그마 메인 화면
피그마 메인 화면 (출처 : 피그마 공식 웹사이트)

  • 브라우저 기반의 디자인 협업 툴
  • UI/UX 디자인,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제작 가능
  • 실시간 협업 지원 (디자이너, 개발자, 기획자 협업 최적화)
  • 플러그인 및 커뮤니티 리소스가 풍부

기획자의 관점

- 협업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최적화 ➜ 디자이너, 개발자와 함께 실시간으로 작업 가능
- 와이어프레임, UX 기획에 용이 ➜ 기획 문서와 연결해 UX 플로우 정리 가능
- 빠르게 시각화할 수 있는 도구 ➜ 클릭 몇 번으로 프로토타입 제작 가능

 

2) 프레이머(Framer)란?

프레이머 튜토리얼 일부
프레이머 튜토리얼 일부 (출처 : 프레이머 공식 웹사이트)

  • 디자인과 개발이 결합된 웹사이트 빌더
  • HTML/CSS 및 인터렉션을 자유롭게 구현 가능
  • 웹사이트 제작 및 배포 기능 제공
  • 코드 없이 애니메이션과 동적 요소 추가 가능

기획자의 관점

-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때 유용 ➜ 와이어프레임보다 실제 웹사이트에 가까운 형태로 시각화 가능
- 1인 프로젝트 또는 단독 웹사이트 구축에 적합 ➜ 협업보다는 개인이 직접 제작하고 배포하는 데 최적화
- HTML/CSS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더 강력한 기능 활용 가능

 

 

2. 피그마 vs 프레이머 비교 분석

구분 피그마 프레이머
사용 목적 UI/UX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협업 웹사이트 제작, 디자인 + 배포
협업 기능 실시간 협업 최적화 개인 작업에 적합 (협업 기능은 제한적)
코드 필요 여부 No-code (코딩 없이 사용 가능) 코드 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HTML/CSS 이해 시 활용도 증가
배포 기능 배포 불가 (디자인 파일 공유 가능) 웹사이트 제작 후 바로 배포 가능
강점 협업 친화적, 쉬운 사용법, 빠른 프로토타이핑 웹사이트를 빠르게 만들고 배포 가능, 강력한 애니메이션 가능
단점 배포 기능 없음, 인터렉션 제한적 학습 곡선이 있음, 협업 기능이 피그마보다 약함

 

 

3. 어떤 경우에 어떤 툴을 선택해야 할까?

피그마가 적합한 경우

  • 협업이 필요한 디자인 프로젝트 (디자이너, 개발자와 함께 작업할 경우)
  • UI/UX 기획 및 와이어프레임 제작이 필요한 경우
  • 빠르게 디자인을 공유하고 수정해야 하는 경우

프레이머가 적합한 경우

  • 단독으로 웹사이트를 제작하고 배포해야 하는 경우
  • 인터렉션이 포함된 고급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싶은 경우
  • 코드 없이 웹사이트를 디자인부터 배포까지 하고 싶은 경우

 

 

4. 기획자의 입장에서 느낀 차이점

사용해본 결과 프레이머는 단독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고 배포하는데 강점이 있다고 느꼈다.

✔️ 빠르게 인터렉티브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어 클라이언트에게 실질적인 웹사이트 형태로 보여주기에 적합하다.

✔️ 하지만 협업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다. 피그마처럼 여러 명이 동시에 수정하고 피드백을 주고받기에는 최적화되지 않았다.

✔️ 따라서 프레이머는 개인이 직접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소규모 팀이라 리소스가 부족할 경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느꼈다.

 

 

5. 결론 - 기획자에게 어떤 툴이 더 적합할까?

📌 피그마는 협업 중심 / 프레이머는 1인 웹사이트 제작에 강점

- 협업 및 UI/UX 기획 중심 프로젝트 ➜ 피그마 추천
- 단독 웹사이트 제작 및 배포 ➜ 프레이머 추천
- 빠르게 인터렉션이 포함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야 한다면? ➜ 프레이머 활용 고려

 

뭐가 정답이다 라는건 없지만, 기획자의 역할이나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보인다. 만약 팀 단위의 디자인 협업이 필요하다면 피그마가 더 적합하고, 1인 프로젝트 또는 웹사이트 배포가 목적이라면 프레이머가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결국 각각의 목적에 맞게 최적의 툴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참고 링크

프레이머에 대해 좀 더 궁금하다면, 튜토리얼이 굉장히 잘 되어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 프레이머 튜토리얼 바로가기

 

 

관련 글 보기

👉🏻 2025.02.04 - [IT 기획 업무] - 피그마(Figma) 기획서 작성 팁 -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 2025.02.05 - [IT 기획 업무] - 2025 피그마(Figma) 업데이트로 달라진 기능들 알아보기

 

 

피그마 vs 프레이머 비교 ❘ 기획자의 관점에서 보는 차이점
피그마 vs 프레이머 비교 ❘ 기획자의 관점에서 보는 차이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