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양한 AI 도구가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AI를 활용하는 방법도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단순히 질문을 던지고 답을 받는 수준에서 나아가, 실제 업무나 창작 활동에서 AI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한 결과를 공유한다.
아래는 내가 직접 경험하며 터득한 효과적인 AI 활용법이다.
참고로 나는 ChatGPT, Perplexity를 주로 사용 중이고 최근에는 Grok과 Genspark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어떤 AI를 사용하더라도 아래 활용법을 지키면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1. 아이디어는 직접, 확장만 AI에게
처음에는 AI에게 막연히 "아이디어를 내줘"라는 식으로 질문을 했다. 하지만 이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AI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적인 아이디어만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결국 내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AI를 통해 그 아이디어를 더 확장하거나 구체화하는 방식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예시 프롬프트
-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추가로 확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3가지를 제안해줘.
2. 무조건적인 수용 대신, 추가 질문으로 검증하기
AI가 생성한 답변을 무조건 수용하기보다, 추가 질문을 던져가며 신뢰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특히 AI는 가끔씩 사실이 아닌 내용을 그럴듯하게 제시하는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현상을 보이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
✅ 예시 프롬프트
- 이 정보가 맞는지 출처와 근거를 다시 확인해줘
실제로 GPT, Perplexity 등 여러 AI를 함께 활용하여 교차 검증하는 방식을 자주 사용한다.
3. 의도가 명확한 질문을 던지기
AI에게 막연한 질문을 던지면, 막연한 답변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얻기 위해서는 질문의 목적과 의도를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
✅ 예시 프롬프트
- 직장인이 업무 집중력일 높이기 위해 사무실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건강 간식 5가지와 각 간식의 효능을 짧게 표로 정리해줘.
4. 답변의 형식을 미리 지정하여 요청하기
답변을 받기 전에 원하는 형태나 템플릿을 미리 제시하면 훨씬 효율적인 소통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면 AI가 더욱 정확하고 깔끔한 형태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 프롬프트 예시
- 아래 질문에 대해 '배경 ➜ 문제점 ➜ 해결방안 ➜ 결론' 구조로 명확하게 답변해줘
이러한 요청 방식을 통해 결과물의 질과 정확도를 훨씬 높일 수 있었다.
5. AI의 답변은 초안과 기초 자료로만 사용하기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 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좋은 전략이 아니다.
나는 AI의 답변을 초안이나 기초 자료로 삼아, 나만의 스타일로 반드시 재가공한다.
✅ 구체적인 활용 사례
- AI에게 키워드와 아이디어를 전달해 글 초안을 요청하고, 직접 재구성
- AI가 생성한 데이터르 시각화해 인사이트를 얻은 후, 최종 자료는 내 경험과 노하우를 더해 직접 작성
6. 결론 - AI를 활용하며 느낀 점
AI는 잘 쓰면 창의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AI를 그저 편하게 쓰기 보다는, 결국에는 질문하는 능력과 결과물을 편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획자로서 생각했을 때 AI는 '만능 해결사'가 아니라, 내가 가진 아이디어를 더욱 깊게 만들고, 더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 역할이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앞으로도 나는 AI를 활용하면서, 나만의 방법을 계속 발전시켜 더 좋은 콘텐츠와 창작물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다시 블로그에서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관련 글 보기
👉🏻 2025.03.07 - [IT 정보/AI 관련] - ChatGPT 4.5 사용 후기 | GPT4와 달라진 점 및 효율적인 프롬프트 작성법
👉🏻 2025.02.13 - [IT 정보/AI 관련] - 챗GPT vs 퍼플렉시티(Perplexity) 사용 비교 | 어떤 AI가 더 유용할까?

'기획자의 툴 활용법 > 기획 & 생산성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헙(GitHib)으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 비개발자를 위한 사용법 & 지라 비교 (0) | 2025.03.18 |
---|---|
주니어 기획자의 구매 기능 개선 과정 | UX 개선 사례 (0) | 2025.03.17 |
피그마 vs 프레이머 비교 | 기획자의 관점에서 보는 차이점 (0) | 2025.03.06 |
혼자 일하는 사람을 위한 최적의 생산성 도구 조합 | AI부터 일정 관리까지 (0) | 2025.02.28 |
간편결제 도입,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 네이버페이 적용 & MSA 전환 과정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