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툴 활용법/기획 & 생산성 팁

깃헙(GitHib)으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 비개발자를 위한 사용법 & 지라 비교

가지피그 2025. 3. 18. 11:56
728x90
반응형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깃헙(GitHub)은 코드 저장소 역할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GitHub Projects 기능이 발전하면서 이슈 관리, 칸반 보드, 테스트 트래킹까지 가능해졌다.

 

그렇다면 비개발자도 깃헙 프로젝트 관리 기능을 쓸만할까? 지라(Jira)와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이 다를까?

이번 글에서는 깃헙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 그리고 지라와의 비교까지 상세하게 정리해 보겠다.

 


 

1. 깃헙 프로젝트란?

GitHub Projects는 이슈(Takss), 칸반 보드, 테이블 뷰, 워크플로우 자동화 등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관리 기능이다.

기존의 단순한 이슈 트래킹을 넘어서 팀 단위 협업을 위한 도구로 진화하고 있다.

 

깃헙 프로젝트의 주요 기능

  • 칸반 보드(Kanban Board) : 진행 중, 완료, 백로그 등으로 태스크를 분류 가능
  • 테이블 뷰(Table View) : 스프레드시트처럼 태스크를 한눈에 정리 가능
  • 이슈 트래킹 : 깃헙의 Issue 기능과 연동하여 태스크 관리
  • 자동화(Automation) : 특정 조건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상태 변경 가능
  • 필터 & 검색 기능 : 원하는 프로젝트나 태스크를 빠르게 찾을 수 있음
  • 깃헙 리포지토리와 연동 : 코드 변경 사항과 이슈를 함께 관리 가능

 

 

2. 깃헙에서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

Step 1. 프로젝트 생성하기

깃헙 프로젝트 이슈 생성하기깃헙 프로젝트 이슈 상세 작성
깃헙 프로젝트 이슈 생성 및 관리 방법

(1) 깃헙(GitHub) 접속 후, Projects ➜ New Project 선택

(2) 프로젝트 유형 선택 (칸반보드 / 테이블 뷰 중 선택 가능)

(3) 프로젝트 이름 및 설명 입력 후 Create Project 클릭

 

Step 2. 이슈 생성 및 관리

깃헙 프로젝트 워크플로우 설정깃헙 프로젝트 워크플로우 편집
깃헙 프로젝트 워크플로우 설정하기

(1) 프로젝트 내부에서 +Add Item 버튼 클릭

(2) 이슈 제목, 설명 작성 후 Assignees(담당자), Labels(태그) 등 추가

(3) 해당 이슈를 Ready, In Progress, Done 칸반 보드에 배치 or 상태 변경

 

Step 3. 자동화(Auto Workflow) 설정

깃헙 프로젝트 팀원 초대 설정 들어가기깃헙프로젝트 팀원 소개하기
깃헙 프로젝트 팀원 초대하기

(1) 특정 상태 변경 시 자동 이동하도록 워크플로우 편집 가능

예) PR(Pull Request) 머지 시 '완료' 칸으로 자동 이동

 

Step 4. 팀원과 협업하기

깃헙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깃헙 프로젝트 유형 선택하기
깃헙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

(1) 프로젝트 설정에서 팀원 초대

(2) 팀원별 권한(Role) 설정 가능

 

이 과정을 통해 비개발자도 GitHub Projects를 활용하여 업무를 관리할 수 있다.

 

 

3. 비개발자가 깃헙 프로젝트를 사용할 수 있을까?

깃헙 프로젝트의 장점 (비개발자 친화적인 기능)

  • UI가 직관적이라 칸반 보드 사용이 쉽다
  • 엑셀/스프레드 시트 스타일의 테이블 뷰 제공으로 테스트 관리가 편리함
  • 이슈 & 태스크 관리가 간단하여 복잡한 설정 없이도 사용 가능
  • GitHub과 연동되어 개발팀과 협업하기 유리함

비개발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점

  • 깃헙은 아무래도 개발 중심 도구이므로, 초기 접근성이 어려울 수 있음
  • 지라(Jira)만큼 세분화된 프로젝트 관리 기능 (에픽, 스프린트 등)이 부족함
  • 자동화 기능을 활용하려면 기본적인 깃헙 워크플로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결론 : 비개발자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지만, 팀 내에서 개발자와 협업하는 경우 더욱 적합하다.

 

 

4. 깃헙 프로젝트 vs 지라

기능 GitHub Projects Jira
UI / UX 깃헙과 연동된 직관적인 UI 다양한 프로젝트 유형 지원, 복잡한 설정 가능
이슈 트래킹 깃헙 Issue와 연동 강력한 태스트 관리, 에픽/스토리 지원
칸반 보드 기본 제공 고급 기능 지원 (스프린트, 버전 관리)
자동화 기본적인 자동화 지원 고급 자동화 및 워크플로우 설정 가능
적합한 대상 개발자 중심 팀, 깃헙과 연동이 필요한 팀 비개발자 포함한 다양한 팀에서 활용

 

어떤 경우 깃헙 프로젝트가 적합할까?

  • 개발팀이 GitHub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깃헙과 직접 연동 가능)
  • 간단한 프로젝트 관리가 필요한 경우 (Jira보다 설정이 간단)
  • 비용 부담 없이 프로젝트 관리를 하고 싶은 경우 (무료 사용 가능)

어떤 경우 지라가 더 나을까?

  • 비개발자도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 (UI가 비개발자 친화적)
  • 대규모 프로젝트 및 세부적인 업무 분리가 필요한 경우
  • 스프린트 관리, 버전 관리 등 세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5. 마무리 - 깃헙 프로젝트, 비개발자도 사용할 수 있을까?

✔️ 깃헙 프로젝트는 개발팀과 협업하는 환경에서 특히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 비개발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초기 설정과 자동화 기능을 익히는 데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 지라(Jira)와 비교했을 때, 복잡한 프로젝트 관리는 어렵지만, 가벼운 태스크 트래킹과 이슈 관리에는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 결론 : 만약 GitHub을 주로 사용하는 팀이라면 깃헙 프로젝트가 더 효율적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비개발자와 함께하는 협업이라면 지라(Jira)가 더 적합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소규모 개발팀의 경우, 비개발 직군이 적다 보니 깃헙으로 프로젝트 관리를 해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와 같이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태스크 트래킹이 필요한 경우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니 한 번쯤은 사용해 봐도 괜찮을 듯!

👉🏻 깃헙 프로젝트 기능 오피셜 웹사이트 살펴보기

 

 

관련 글 보기

👉🏻 혼자 일하는 사람을 위한 최적의 생산성 도구 조합 | AI부터 일정 관리까지

👉🏻 혼자 일하는 사람을 위한 피그잼(FigJam) & 노션(Notion) 활용법

 

 

깃헙(GitHib)으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 비개발자를 위한 사용법 & 지라 비교
깃헙(GitHib)으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 비개발자를 위한 사용법 & 지라 비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