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툴 활용법/AI 도구 활용법

챗GPT로 SNS 유행 이미지 스타일 만드는 법 스노우볼, 아이소메트릭, 스티커

가지피그 2025. 4. 13. 09:27
728x90

최근 SNS에서 본인 사진을 다양한 스타일로 변환한 콘텐츠가 자주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스노우볼, 아이소메트릭 뷰처럼 피규어화된 이미지가 귀엽고 독특한 느낌을 주며 인기를 끌고 있었다.

 

나 역시 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자주 활용하고 있는 유저로서, 이번에는 SNS에서 특히 많이 보였던 트렌디한 스타일 중심으로 직접 테스트해본 이미지 생성 방식과 프롬프트 작성법을 정리해봤다.

 

목차


     

    1. 3D 치비 스타일 캐릭터 만들기

    챗GPT 치비 스타일 캐릭터 예시
    챗GPT 치비 스타일 캐릭터 예시

    가장 기본이 되는 캐릭터 스타일로, 귀엽고 아기같은 3D 피규어처럼 표현할 때 유용했다.

    SNS에서 많이 보이는 대부분의 변환 콘텐츠가 이 스타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프롬프트 예시

    이 이미지를 귀엽고 아기같은 치비 스타일의 3D 캐릭터로 만들어줘

     

    이 스타일은 이후 다양한 연출(스노우볼, 아이소메트릭 등)의 기초가 되므로, 얼굴 비율, 눈 크기, 표정 톤 등을 처음부터 명확히 설정해두면 이후 수정 작업이 줄어들었다.

     

     

    2. 아이소메트릭 스타일로 구성하기

    챗GPT 아이소메트릭 스타일 예시
    챗GPT 아이소메트릭 스타일 예시

     

    3D 치비 스타일 캐릭터를 만든 후, 아이소메트릭 스타일로 바꾸면 미니어쳐 디오라마 같은 정돈된 구성이 만들어진다.

    SNS 피드에서 감성적인 구성으로 자주 활용되고 있었다.

     

    프롬프트 예시

    [캐릭터 사진 업로드]
    이 이미지를 아이소메트릭 스타일로 만들어줘.
    깔끔하고 미니멀한 스타일어야야 해.
    배경은 초현실적인 웨딩홀이며, 흰색 드레이프가 걸려있어.
    상단에는 필기체로 'Our Wedding Day'라는 네온사인 로고가 있어.
    배경 뒤편에는 파스텔톤 하늘과 하얀 꽃이 가득 핀 초원이 펼쳐져 있어.

     

    프롬프트 작성 팁

    ✔️ '깔끔하고 미니멀한 스타일'은 아이소메트릭 스타일 생성 시 거의 필수 문구처럼 작동했다.

    ✔️ 배경을 설정할 땐 단순히 '예쁜 웨딩홀'보다는 재질, 조명, 구성 요소(꽃/창문/드레이프 등)를 함께 설명하는 것이 결과물 퀄리티에 도움이 됐다.

    ✔️ 이미지 상단 텍스트는 네온사인, 엠보싱, 필기체처럼 시각적 특징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했다.

     

     

    3. 스노우볼 연출

    챗gpt 스노우볼 연출 예시챗gpt 스노우볼 연출 예시
    챗gpt 스노우볼 연출 예시

     

    캐릭터를 눈 내리는 스노우볼 안에 넣는 구성도 귀여운 연출을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커플 사진, 아기 이미지 등 다양한 곳에 자주 쓰이는 스타일이었다.

     

    프롬프트 예시

    [캐릭터 사진 업로드]
    이 이미지를 스노우볼 안에 넣어줘.
    배경에는 하얀 꽃이 가득 피어있고, 하얀색 꽃잎이 눈처럼 흩날리고 있어.
    캐릭터 머리 위에 꽃잎이 몇 장 떨어져 있도록 해줘. 이 모든걸 스노우볼 안에 넣어줘.

     

    프롬프트 작성 팁

    ✔️ 눈이나 꽃잎처럼 움직이는 요소는 '흩날린다', '소복히 쌓여있다' 등 동작과 상태를 묘사하는 형용사를 활용하는 게 효과적이었다.

    ✔️ 캐릭터와 배경이 조화롭게 어울리려면 배경의 채도와 스타일을 캐릭터 톤과 맞추는 것이 좋았다.

    ✔️ 스노우볼 안에 설명한 모든 요소를 넣고 싶다면 '이 모든걸 스노우볼 안에 넣어줘'와 같은 명확한 명령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4.  스티커로 변환하기

    챗GPT에서 스티커 생성챗GPT에서 스티커 생성 예시
    챗GPT에서 스티커 생성 예시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은 이제 하나의 이미지에서 여러 개의 요소를 추출해 스티커처럼 나열하거나 그룹화된 이미지 생성도 가능해졌다.

     

    프롬프트 예시

    [사진 업로드]
    이 이미지에 있는 요소들을 스티커로 만들어줘

     

    프롬프트 작성 팁

    ✔️ '스티커 형태로 만들어줘'와 함께 '하얀 테두리를 둘러줘', '둥근 모양으로 잘라줘' 등의 형식을 함께 제시하면 더 명확하게 생성됐다.

    ✔️ png 파일로 생성해달라고 하면 배경 없이 생성 가능

    ✔️ 캐릭터, 배경 오브제, 텍스트 등을 각각 분리해서 출력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5. 프롬프트 작성 팁 - 일관성 유지, 어떻게 할까?

    최근 GPT에서 이미지 생성 기능을 계속 사용해본 결과, 캐릭터의 얼굴, 표정, 의상 등이 배경 변화 요청만으로도 크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프롬프트 안에 '유지해야 할 유소'를 명확하게 넣는 것이 좋았다.

    기존 캐릭터의 얼굴, 의상, 포즈는 그대로 유지하고, 배경만 다른 스타일로 바꿔줘

     

    또한 이전 이미지와 연결된 요청을 할 때는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한 뒤, 비교하거나 수정할 부분만 콕 짚어 설명하는 방식이 효과적이었다.

     

     

    6.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최근 SNS에서 유행하고 있는 이미지 스타일 중심으로,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제 예시와 함께 정리해봤다. 

     

    '캐릭터처럼 바꿔줘'라고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배경 설정, 텍스트 요소, 재질 표현, 구성의 밀도 등을 얼마나 구체화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의 만족도가 크게 달라졌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챗GPT를 활용한 이미지 콘텐츠 제작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이번 포스팅을 참고해서 본인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보길 추천한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챗GPT로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 만들기 | 프롬프트 예시

    👉🏻 챗GPT 이미지 생성만 쓰고 끝? 유료 결제했다면 써봐야 할 기능 3가지

     

     

    챗GPT로 SNS 유행 이미지 스타일 만드는 방법
    챗GPT로 SNS 유행 이미지 스타일 만드는 방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