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업데이트된 이후, 활용도는 정말 눈에 띄게 높아졌다.
처음엔 단순한 스타일 변경만 되는 줄 알았는데, 최근에는 내가 찍은 사진으로 사이버펑크, 르네상스 회화, 픽셀아트 등 전혀 다른 분위기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나 역시 처음엔 단순한 캐릭터 변환만 해봤지만, 지금은 다양한 화풍으로 바꾸는 게 재밌어서 종종 활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내가 직접 사용해 본 화풍 스타일과, 그때 입력했던 프롬프트 예시를 함께 정리해 봤다.
AI 이미지 생성 초보자라면, 아래 프롬프트를 복사해서 그대로 써보는 것도 추천한다.
1. 다양한 화풍으로 사진 변환하기
GPT-4o에서 이미지 생성 기능이 강화되면서 느낀 가장 큰 변화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화풍 표현이 훨씬 유연해졌다는 점이었다. 특히 한글로 작성해도 꽤 잘 인식했고, 배경이나 분위기까지 내가 말한 대로 표현해주는 편이었다.
2. 내가 써봣던 화풍 프롬프트 모음 (한글)
아래는 내가 직접 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을 사용하면서 시도해 본 화풍 스타일이다.
각 항목에는 예시 이미지와 함께 내가 실제로 사용했던 프롬프트를 함께 정리했다.
1) 한국 전통 수묵화 스타일
- 배경이 복잡하지 않은 인물 사진, 꽃, 풍경 등이 수묵화 스타일에 잘 어울렸음
- 여백이 많은 구도일수록 동양화 느낌이 더 잘 살아났다.
- 한글 프롬프트도 비교적 잘 구현되며, 번짐 표현도 잘 되는편!
📌 프롬프트 : 이 사진을 한국 전통 수묵화 느낌으로 바꿔줘. 여백의 미를 살리고, 번짐과 농담 표현이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해줘.
2) 일본 전통화 (유키요에)
- 일본 에도시대풍의 전통 수묵화 스타일, 평면적인 색감이 특징.
- 사람보다는 동물로 시도해 보길 추천한다. 남자의 경우 머리 스타일이 에도시대처럼 바뀌므로 주의!
📌 프롬프트 : 이 사진을 유키요에 스타일의 전통 일본화로 바꿔줘. 배경은 에도시대 풍경으로 그려줘.
3) 르네상스 유화 스타일
- 고전 유화 느낌, 인물의 표정이나 옷 주름, 명암이 정교하게 표현됐음!
- 의외로 동물 사진을 변환했을 때 결과물이 괜찮았다.
📌 프롬프트 : 이 사진을 르네상스 시대 유화 스타일로 바꿔줘. 배경은 고전적인 실내 또는 궁전처럼 해줘.
4) 픽셀 아트
- 고전 8비트 게임풍, 귀엽고 단순한 도트 형태로 구성
- 복잡한 이미지보다는 선과 배경이 단순한 이미지가 변환이 더 잘된다. 이미지를 단순한 캐릭터로 1차 변환한 후, 픽셀아트 스타일로 바꾸면 좀 더 깔끔하게 나오는 편!
📌 프롬프트 : 이 사진을 픽셀아트 스타일로 바꿔줘. 8비트 게임 캐릭터처럼 표현해 줘.
5) 연필화 / 스케치 스타일
- 연필로 그린 것처럼 섬세한 선과 명암이 특징. 드로잉 스타일
- 인물의 얼굴은 디테일하게 그려지는 느낌은 없었지만, 소품과 의상 등은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표현해 준다.
📌 프롬프트 : 이 사진을 연필 드로잉 스타일로 바꿔줘. 흑백 스케치 느낌으로 섬세하게 표현해 줘.
6) 일본 시티팝 레트로 스타일 (1980~90년대 감성)
- 80~90년대 일본의 도시 야경, 핑크빛과 보랏빛이 감도는 네온 조명, VHS 느낌의 흐릿한 필름 톤으로 표현된 아날로그 감성 스타일
- 너무 사실적인 인물 사진이 싫다면, 아래 프롬프트에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더하면 된다.
📌 프롬프트 : 이 사진을 1980~1990년대 일본 시티팝 커버 스타일로 바꿔줘. 네온 조명과 아날로그 필름 감성, 도쿄의 밤거리 배경으로 표현해 줘.
아래 사항을 참고하면 좋음!
✔️ 나는 보통 원본 사진의 배경이 깔끔하거나, 피사체 중심 구도가 명확할 때 스타일 변경이 더 잘된다고 느꼈다.
✔️ 화풍 프롬프트에 '배경', '느낌', '특정 요소'를 덧붙이면 더욱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길!
3. 내가 활용한 방법
✔️ 웨딩사진을 다양한 화풍으로 바꿔서 SNS에 활용
✔️ 블로그 썸네일, 목업 이미지 제작용
✔️ 인스타 콘텐츠 제작용 이미지
하나의 사진만으로도 이렇게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게 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의 가장 큰 장점이었다.
4. 마무리
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은 이전보다 확실히 더 좋아졌다.
특히 한글 프롬프트도 잘 인식하고, 텍스트 렌더링 정확도도 높아졌다는 점에서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감각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된 시대가 정말 실감 났다.
물론, 아직 완벽하지는 않다.
원하는 결과가 한 번에 나오지 않는 경우도 많았고, 디테일하게 바꾸고 싶을 땐 프롬프트 수정을 여러 번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과정을 즐길 수 있다면, 누구나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 저작권이 있는 캐릭터 스타일(디즈니, 지브리 등)을 바꾸는 건 개인 소장용으로만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상업적으로 활용 시 저작권 침해가 될 수도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AI 이미지 정말 써도 괜찮을까? | 지브리, 디즈니 스타일 변환의 저작권 문제
👉🏻 ChatGPT-4o 새롭게 업데이트된 이미지 생성 기능 사용 후기
'기획자의 툴 활용법 > AI 도구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드저니 V7 업데이트, 달라진 기능 총정리 | Draft Mode, 인물 표현, 프롬프트 이해도 (2) | 2025.04.07 |
---|---|
Genspark 슈퍼 에이전트 후기 | 여행 계획부터 영상 제작까지 (0) | 2025.04.04 |
챗GPT 답변이 마음에 안 들 때, 수정 요청 이렇게 | 프롬프트 작성법 (0) | 2025.04.01 |
AI 이미지 정말 써도 괜찮을까? | 지브리, 디즈니 스타일 변환의 저작권 문제 (0) | 2025.03.29 |
미드저니 Organize 기능 사용법 | 폴더로 이미지 정리하는 법 (0) | 2025.03.28 |